![]() |
심사위원들의 뜨거운 반응, 하지만 단 한 편의 소설로 무섭게 떠오른 신예 작가의 바로 그 화제작!
술과 여자와 지폐가 가득한 욕망의 파라다이스, 사이공의 휘청대는 불빛 따라 술 취한 사내들이 비틀거린다. 이들을 향해 다가오는 알 수 없는 죽음의 그림자. 누가, 왜 그들의 목숨을 노리는가? 권태와 욕망, 음모와 배신, 진실과 거짓이 뒤섞인 식민지 도시의 검은 밤, 냄새 나고 더러운 도시의 뒷골목에 네온사인이 켜지면 살인과 순결한 붉은 피가 사이공의 밤거리를 물들인다.
“『사이공 나이트』는 결말의 반전까지 몰고 가는 서사적 파워가 강한 몰입도 높은 소설이다. 중년의 피로감이 짙게 밴 남자들을 전면에 내세워 그들이 다다르게 되는 비극적 죽음 혹은 삶을 누아르 풍으로, ‘수컷’ 향기 짙게 다뤄 남성 독자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제9회 세계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한 『사이공 나이트』는 베트남의 호찌민에 모여든 한국 사내들의 음모와 배신, 비극적 죽음을 그린 장편소설이다(사이공은 호찌민의 옛 이름). 특히 정식 문학수업을 받은 적 없는 작가 지망생의 처녀작인데도 심사위원들이 입을 모아 호평했던 작품으로 유명하다. 소설가 이순원은 “읽는 내내 심사위원이 아니라 한 사람의 독자로서 한 편의 영화 같은 전개 솜씨에 놀랐고, 이 박진감 넘치는 얘기를 자신의 경험과 현실의 얘기처럼 풀어나간 작가의 이력이 궁금했다. 어디까지가 상상이고 어디까지가 경험인지 끝까지 몰입하게 하는 작품이다.”라고 했다. 소설가 신승철도 “영화 한 편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빠른 전개와 결말의 반전은 도저히 신인의 솜씨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읽은 추리소설 중 단연 으뜸이었다. 한국 문학의 갱신을 말할 때 맨 앞에 내세울 작품이다.”라고 극찬했다.
“내가 죽어 자빠지면 나를 뒤집어 묻어주게. 권태와 욕망, 허세와 거짓말, 천국과 지옥, 죽음과 구원이 뒤섞인
베트남 호찌민의 한 카페에 세 사내가 모인다. 서울에서 온 대수, 태국 푸껫에서 온 순철, 그리고 호찌민에 살고 있는 도식. 이들의 공통점은 종적을 감춘 고리대금업자 기승에게 상당한 돈을 투자했다는 것. 기승이 사라지기 전까지 이들은 1년에 한두 번 호찌민에 모여 기승이 건네주는 돈으로 질펀한 배당금 파티를 벌이며 이국의 쾌락을 원없이 만끽했다.
추천사
『사이공 나이트』는 제9회 세계문학상 심사 과정에서 대상으로 뽑히길 간절히 바랐던 작품이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내가 읽은 추리적 요소를 띤 소설 중 단연 으뜸이었다. 영화 한 편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빠른 전개와 결말의 반전은 도저히 신인의 솜씨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작품성과 흥행성을 두루 갖춘 『사이공 나이트』야말로 한국 문학의 갱신을 말할 때 맨 앞에 내세울 작품이다.
『사이공 나이트』는 첫 장면부터 뭔가 국제적인 음모가 배어 있는 듯한 불온한 느낌 속에 울리는 한 통의 전화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사이공을 무대로 그곳에서 만나기로 한 세 남자의 회합이 어긋나는 첫 장의 이야기부터 박진감이 넘친다. 읽는 내내 심사위원이 아니라 한 사람의 독자로서 한 편의 영화 같은 전개 솜씨에 놀랐고, 이 박진감 넘치는 얘기를 자신의 경험과 현실의 얘기처럼 풀어나간 작가의 이력이 궁금했다. 어디까지가 상상이고 어디까지가 경험인지 끝까지 몰입하게 하는 작품이다.
정 민 1970년 전북 전주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를 졸업하고 광고회사, 편집회사, 잡지사, 웹진 등에서 일했다. 장편소설 『사이공 나이트』로 2013년 제9회 세계문학상 우수상을 받았고, 『어달-탄식함에 이르다, 까마귀와 통하다』로 2013년 제1회 동해해양문학상 소설 부문에 당선되었다.
작가의 한마디
1부 산 자들의 마지막 날
2부 세상의 끝, 세상의 기원
3부 죽음이 너를 구원할 것이다 에필로그 작가의 말
책 속으로
지난 1년 동안 10만 달러가 넘는 빳빳한 오까네가 순철의 주머니로 들어왔다. 얇고 노란 고무줄로 돌돌 말린 지폐 뭉치는 몸값 비싼 창녀의 유방처럼 금방이라도 터질 것 같았다. 돈을 건네받을 때마다 순철의 가슴도 터질 듯 두근거렸다.
도식은 기승의 사업을 믿지 않았다. 기승이 말하는 달콤한 배당금보다는 기승과 순철 그리고 대수와 함께 사이공의 밤거리를 걷고 싶었을 뿐이었다. 도식은 투자의 대가로 기승과 대수와 순철을 얻었다. 그들과의 싱거운 농담, 즐거운 한때가 투자의 대가라고 도식은 생각했다.
|